- 주식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용어(PBR,PER, EPS) 목차
회사분석 일반적 용어
회사의 재무구조를 분석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들이 있다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로 불리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상태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순자산= (총자산 - 총 부채)
주당 순자산= (총 자산 - 총 부채) / 발행 주식 수
주당 순자산 비율(PBR)= 주가 / 주당 순자산
참고) 주당순자산: Book Value per Share(BPS)
즉, 주가가 10,000원인데 주당 순자산이 10,000원이면 1이 됩니다.
주가가 10,000원인데 주당 순자산이 5,000원이면 2가 됩니다.
주가가 10,000원인데 주당 순자산이 20,000원이면 0.5가 됩니다.
PBR로만 판단한다면 마지막 경우에 있는 회사 주식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막말로 부도가 나서 회사가 청산되도 나한테 돌아오는 것이 있으니까요
설비투자가 많이 필요한 업종과 IT기업과의 PBR 비교는 곤란합니다.
설비투자에 대한 자산이 IT기업은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같은 업종안에 있는 기업간의 비교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으로 불림니다.
PER= 주가 / 1주당 순이익(납세후)
= 주가/EPS
예를 들어 주식 가격이 10,000원이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면 PER은 10이 됩니다.
즉 기업의 순이익이 커지면 커질수록 PER은 낮아집니다.
업종별 차이도 있고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PER < 10 인 경우 저 PER 주로 판단합니다
주당 순이익은 평균인데 주가가 높은 경우는
현재의 이익보다 주가가 높다는 뜻으로 성장하는 기업의 경우가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PS(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으로 불리며
EPS= 기업의 당기순이익 / 총 주식 수
주당 순이익이 많은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고 배당의 여력도 많다는 뜻입니다.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한다면 EPS를 보는 것이 좋고
주당순이익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은 시장지배력이 좋은 기업입니다.
하나의 지표로 추자 판단을 할 수는 없습니다.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립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종목]덴티움(145720) 주가 예상 (0) | 2022.06.28 |
---|---|
주식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용어(ROA, ROE) (0) | 2022.06.28 |
[오늘의 종목]삼천당제약(000250) 주가 예상 (0) | 2022.06.09 |
[오늘의 종목]CJ프레시웨이 주가예상 (0) | 2022.06.08 |
[오늘의 종목]세아제강지주(003030) 주가 예상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