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ass 장점, 신청방법, 발급비용,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

2024년 05월 18일 by 진아사랑해

    K-Pass 장점, 신청방법, 발급비용,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 목차
반응형

 개요

K-패스는 2023년 8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입니다.

이 카드는 최대 53%까지 할인을 제공하며, 선불 카드 또는 후불 카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는 다음 달 대중교통 이용 금액의 일부를 현금 또는 마일리지로 환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용 가능 지역은 전국 대부분의 도시에서 적용되며,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등은 제외됩니다.

K-Pass 장점
< K-Pass 환급 헤택 >

 

 K-Pass를 해야 하는 이유(장점)

1) 높은 환급률

일반인 20%, 청년(19~34세) 30%, 저소득층 53.3%의 높은 대중교통비 환급률을 제공합니다.

이동거리와 상관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따라 환급률이 적용되므로, 장거리 이동 시에도 높은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편리한 이용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출도착 기록 조건이 필요 없어 편리합니다.

11개 카드사에서 발급하는 K-패스 전용 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3) 높은 할인율

월 이용액이 많을수록 할인율이 높아져 최대 60%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대비 높은 환급률과 편리한 이용 방식으로 대중교통 이용자의 실질적인 교통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제도입니다.

K-Paa 신청에 대한 안내
<출처: 정책브리핑>

 

 K-Pass 신청 방법

K-Pass 홈페이지 연결
< K-Pass 홈페이지 바로가기 >

 

1) 11개 카드사(KB국민카드, BC카드, IBK기업은행, 현대카드, 광주은행, 신한카드, 우리카드, 삼성카드, 티머니, 카카오페이, NH농협) 중 원하는 카드사를 선택합니다.

2) 선택한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K-패스 전용 카드를 신청하여 발급받습니다.

3)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korea-pass.kr)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

    회원 가입을 꼭 하셔야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발급받은 K-패스 카드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등)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5)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의 K-패스 카드 발급 없이 기존 카드를 그대로 사용하면 K-패스로 전환됩니다.

6) K-패스는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되므로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K-패스 사업에 참여한 지자체여야 합니다.

참고) 카드사별 혜택이 틀림으로 원하시는 카드사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카드사별 혜택
<출처: 정책브리핑>

 

 카드 발급 비용

K-패스 카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중교통비 환급 제도로, 11개 카드사에서 K-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해주고 있습니다.

카드 발급 시 별도의 발급 수수료나 연회비 등은 없으며,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이나 부가서비스 이용 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카드사에 자세한 사항을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K-Pass 주요 질문과 응답
<출처: 정책브리핑>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

1) 시내버스

2) 지하철

3) 광역버스

4)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5) GTX

즉, 교통카드 기반의 대중교통 수단이라면 K-패스 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택시나 고속버스 등 교통카드 결제가 불가능한 수단은 K-패스 카드 이용이 제한됩니다.
K-패스 카드 이용 시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이 다음 달에 환급되므로,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 수단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께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K-Pass 환급 금액

 K-Pass 환급 시점

구체적인 환급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월(1일~말일) 대중교통 이용분에 대한 환급금이 익월(다음 달) 16일경 K-패스 앱이나 가입 카드사 계좌로 입금됩니다.

예를 들어 5월 한 달간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환급 대상이 되었다면, 6월 16일 전후로 환급금을 수령하게 됩니다.환급금 지급일자는 카드사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공휴일이나 주말인 경우 다음 영업일에 지급될 수 있습니다.

또한 K-패스는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되므로 예산 상황에 따라 환급금 지급이 지연되거나 감액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K-Pass 환급금 사용 방법

K-패스 환급금은 별도의 사용 절차 없이 자동으로 가입한 카드사 계좌나 K-패스 앱 캐시로 입금됩니다.

매달 16일경 전월 대중교통 이용분에 대한 환급금이 카드사 계좌나 K-패스 앱으로 입금됩니다.

환급금은 현금으로 지급되므로 별도의 사용 방법이 없으며, 입금된 계좌에서 자유롭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앱에 입금된 캐시는 앱 내 가맹점에서 결제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환급금은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 할인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 후 다음 달에 현금으로 환급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환급금 입금 후에는 현금과 동일하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대 환급 금액

K-패스의 최대 환급금액은 연간 576,000원입니다.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제도인데, 환급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반인 20%

2) 청년(19~34세) 30%

3) 저소득층 53.3%

이때 월 최대 환급금액은 48,000원(일반인 기준)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연간 최대 환급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48,000원(월 최대) x 12개월 = 576,000원
이 계산은 일반인 기준이며, 청년층과 저소득층의 경우 환급률이 더 높아 최대 환급금액도 그에 따라 증가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K-Pass 신청방법, 사용 이유, 최대 환급 금액 등 K-Pas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물가 시대에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K-Pass를 적극 활용하시어 경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