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 - 단순, 지수, 가중

2023년 03월 20일 by 진아사랑해

    이동평균선 - 단순, 지수, 가중 목차
반응형

개요

주식 차트나 가상화폐 등 차트를 활용하는 모든 곳에는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을 설정하는 방법 중에 대표적인 것이 단순이동평균선, 지수이동평균선, 가중이동평균선입니다.

각각의 이동평균선이 어떻게 나오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각 이동평균선은 5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단순이동평균선

표현 그대로 5일간의 평균을 낸 값을 말합니다.

5일간의 주가가 100, 110, 120, 130, 140원이라면 (100+110+120+130+140) / 5 = 120

즉 5일선의 가격은 120원이 됩니다.

지수이동평균선

단순이동평균보다 최근의 주가에 더 많은 가중치를 주는 것입니다.

5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함으로 k = 2/(5+1) = 0.33

20일 이동평균선의 경우에는 k = 2/(20+1) = 0.095

지수이동편균선 가격 = k * 현재가 + (1-k) * 이전 지수이동평균선 값

즉, 지수이동편균선 가격 = 0.33 * 현재가 + (0.67) * 이전 지수이동평균선 값

5일인 경우에 단순이동편균선이 현재가에 1/5 즉 0.2를 곱하는 것에 비해 최근 값에 0.33을 곱함으로

최근 값을 많이 반영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가의 변동을 단순이동평균선에 비해 좀 더 빠르게 반영합니다.

가중이동평균선

가중이동평균선은 최근의 가격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5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보면 5+4+3+2+1 = 15임으로

주가가 100,110,120,130,140원 즉, 오늘이 140원이라 가정하면

(100*1 + 110*2 + 120*3 + 130*4 + 150*5) / 15를 하는 것입니다.

즉, 최근 가격에 더 많은 가중치를 주어 계산하는 것입니다.

단순, 지수, 가중 이동평균선의 차이

삼성전자 20일선 단순이평                                     삼성전자 20일선 지수이평                                               삼성전자 20일선 가중이평         

위 그림에서 보이듯이 삼성전자의 주가를 가지고 20일선을 구하는데 3가지 방식에 따라 20일 이동평균선의 위치가 조금 틀림을 알 수 있습니다.

60일이나 120일 같은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갈수록 확연한 차이점을 드러냅니다.

 

이동편균선에 정답은 없습니다.

본인이 사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맞는 이동평균선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지수이동평균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배출권 관련 테마주  (0) 2023.03.21
철강 테마주  (0) 2023.03.21
주식(코인) 매수 방법 - 양음양 패턴  (0) 2023.03.19
양자암호 테마  (0) 2023.03.19
종합주가지수 예상  (0) 2023.03.19